[현장 취재] 재활용 쓰레기 절반이 소각•매립돼

 

[앵커] 

보통 아파트 단지 안엔 재활용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해 배출할 수 있는 분리수거 용기가 있습니다.

하지만 단독주택에선 근처에 분리수거 용기가 마련된 곳이 많지 않아 대부분 재활용 쓰레기가 분리되지 않고 배출됩니다.

이렇게 배출된 쓰레기는 어떻게 처리되고 있을까요?

윤준호 기자가 현장을 취재했습니다.  

[기자]

충북 제천의 한 단독주택가입니다.

여러 종류의 재활용 쓰레기가 봉투에 담겨 있습니다.

분리수거 용기가 없는 단독주택은 이렇게 재활용 쓰레기를 봉투 하나에 모두 담아 내놓습니다.

제천시는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 쓰레기를 배출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수거 시설 28개를 단독주택 밀집 지역에 만들었지만 설치 이후에 시설 20개에서 분리수거 용기를 회수했습니다.

쓰레기 무단 투기가 벌어진다는 게 이유였습니다.

사실상 전체 6만 6천 세대의 60%가 넘는 단독주택에서 재활용 쓰레기가 혼합 배출되고 있는 겁니다.

[김봉자(72)/충북 제천시 동현동 주민] “술병이고 비닐봉지고 다 한 군데 넣었지. 엉망진창으로 막 내놨는데…”

단독주택에 사는 주민이 혼합 배출한 재활용 쓰레기는 한꺼번에 수거돼 선별장으로 옮겨집니다.

제천시 재활용 쓰레기 선별장입니다.

전체 재활용 쓰레기의 절반 정도가 단독 주택에서 혼합 배출한 것들입니다.

선별장 작업자가 재활용 쓰레기를 담은 봉투를 하나하나 뜯은 뒤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류합니다.

작업자 한 명당 하루 600kg에 가까운 양의 쓰레기를 이런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김진환/제천시 자원관리센터 위탁 업체 소장] "(분리수거 돼서) 한두 번에 걸쳐 선별하게 되면 아무래도 현장에서 근무하시는 근로자들의 노동 강도도 조금 낮아질 거고요, 그리고 재활용 선별률도 조금 더 상승하지 않을까“

환경부는 재활용 쓰레기 분리수거에 관한 지침에서 기초자치단체장이 쓰레기를 종류별로 분리수거할 수 있는 용기를 지속해서 보급하도록 규정했습니다. 

쓰레기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섭니다.

하지만 기초자치단체는 단독주택 분리수거 용기 보급에 소극적입니다.

전체 세대의 85%가 단독주택에 사는 영동군은 분리수거 용기를 한 곳도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충주시는 분리수거 용기를 설치했다가 철거하기도 했습니다.

기초자치단체들이 분리수거 용기 보급을 꺼리는 건 관리 부담 때문입니다.

공동주택에선 관리사무소에서 분리수거 용기를 관리하지만 단독주택 지역에선 관리자가 없어 분리수거 용기에 쓰레기를 무단으로 버려도 대처가 어렵습니다.

주민들이 자기 집 근처에 분리수거 용기가 들어서는 걸 원치 않아 설치 장소를 선정하는 데도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권기종/충주시청 자원순환과 팀장] “동네 주민 동의서도 얻어야 되고 그래서 막상 시행에 들어가면 부지 확보가 가장 어려워서 (분리수거 용기 설치를) 추진하지 못한 적이 있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재작년 한 보고서에서 단독주택의 재활용 쓰레기를 혼합 수거하는 것이 재활용 선별률을 낮추는 원인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단독주택에서 나온 재활용 쓰레기가 반입되는 선별장의 선별률이 30~50%에 불과하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하지만 쓰레기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한 중앙정부나 광역자치단체 차원의 관리는 이뤄지지 않고 있습니다. 

단독주택에 분리수거 용기를 설치하라는 지침까지 만든 환경부는 물론 충청북도도 실제 분리수거 용기가 얼마나 보급되고 있는지 현황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습니다.

정부가 지침만 만들어놓고 사실상 손을 놓은 가운데 단독주택에서 나오는 재활용 쓰레기의 절반가량은 재활용 대신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단비뉴스 윤준호입니다.

(편집: 윤준호 기자 / 촬영: 윤준호 정호원 손민주 안재훈 기자 / 그래픽: 윤준호 기자 / 앵커: 손민주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