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농업이슈] 부산 일본영사관 앞 소녀상

2016년 12월 28일, 한일 정부의 위안부 문제 합의 발표 1년 째 날, 부산시 동구 초량동 일본총영사관 앞에 소녀상이 우뚝 솟았다. ‘평화의 소녀상 추진위원회’가 세웠다. 부산 동구청은 불법 적치물이라며 강제로 옮겼다. 동구청 홈페이지가 마비되고 항의 전화가 빗발쳤다. 비난 여론이 거세지자 동구청은 12월 30일 무릎을 꿇었다. 소녀상 재설치 허용. 12월 31일 소녀상은 일본 영사관 앞에 다시 섰다. 제막식도 치렀다. 이후 시민단체 ‘부산 겨레하나’의 회원들이 소녀상을 지킨다. 이 문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부산시민들을 만나봤다.

▲ 부산 일본영사관 앞에 세워진 소녀상에는 시민들이 두고 간 꽃과 음식이 가득하다. Ⓒ 민수아

하루 2시간 소녀상을 지키는 청년

지난 1일 현장을 찾으니 일본 방송국 <TV 도쿄>가 소녀상 문제를 취재중이었다. 일본에서도 그만큼 관심사항이란 걸 말해준다. 도쿄 TV와 인터뷰하던 대학생 김성갑(24·부산대 기계공학) 씨. 소녀상 설립 직전 ‘겨레하나’ 일을 시작한 김 씨는 소녀상 설치 과정을 겪으면서 자연스럽게 지킴이 활동에 발을 담갔다.

김 씨는 “일본이 사죄하지 않았기 때문에 소녀상을 세운 것”이라며 “한일관계 악화로 인한 경제적 타격보다는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앞서야 한다“고 목청을 돋운다. “멀리서 일부러 찾아온 시민들을 보면 아픈 역사의 한 부분을 이해하고 공유하는 모습에 울컥한다”며 지킴이 활동을 통해 민족 감정을 키운다고 밝힌다. ‘겨레하나’의 회원들은 평일과 주말 오후 2∼3시간씩 순번을 정해 소녀상을 보호하며 주변 청소와 정리를 도맡는다. 방문객에게 소녀상의 의미와 건립 과정도 자세히 설명해 준다.

▲ 김성갑 씨가 소녀상을 찾아온 시민들의 기념사진을 찍어주는 순간과 일본 매체의 인터뷰에 응하며 자신의 의견을 전하는 모습. Ⓒ 민수아

60대 시민 “내가 하고 싶어서 나온 거죠”

지킴이 활동은 특정 단체 활동가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일반 시민도 한몫 거든다. 대연동에 거주하는 주민 김상금(68) 씨가 그렇다.

김 씨는 오전 10시에 나와 오후 3~4시경까지 소녀상과 시간을 보낸다. 이후 ‘겨레하나’ 지킴이 학생들에게 바통을 넘긴다. 아버지로부터 일제의 만행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자랐다는 김씨. 시민들에게 역사를 바로 알려주고 또,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조금이나마 위로가 되고 싶어 활동을 시작했다고 들려준다.

▲ 김상금 씨는 일요일을 제외한 모든 날 소녀상 앞에 나와 지킴이 활동을 하고 있다. Ⓒ 민수아

“한국은 일본을 용서한다”는 철거주장 시민도

소녀상 철거를 주장하는 사람도 나타난다. 정체를 밝히지 않는 한 남성이 소녀상 옆 승강기 벽면에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부착물을 며칠째 붙인다. ‘반일감정 선동 그만’, ‘대한민국은 일본을 용서한다’, ‘일본을 사랑하라’ 등의 내용이다. 경찰이 제지하자 “왜 이거(소녀상을 응원하는 메모)는 놔두고 내 것만 떼려하냐”며 볼멘소리다. ‘겨레하나’ 측은 이 남성의 행동에 대해 법적 대응을 준비 중이다.

▲ 신분을 밝히지 않는 한 남성이 소녀상 옆 승강기 벽면에 소녀상을 반대하는 게시물을 붙이고 있다. Ⓒ 민수아

소녀상을 찾는 시민들은 각자 자신만의 방식으로 소녀상을 마음속에 품는다. 태블릿 PC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글자를 띄워 기념사진을 찍은 한 청년은 일본 총영사관을 향해 “아베 보고 있나?”를 외치며 자리를 떴다. 소녀상 앞에서 신도들과 함께 기도를 드리는 수녀님도 눈에 띈다.

▲ 여러 시민이 자신만의 방식으로 소녀상을 마주하고 있다. Ⓒ 민수아

“저는 일본인으로서 일본 정부를 용서할 수 없습니다”

일본인도 이곳에 들린다. 1인 피켓 시위를 벌이던 키무라 리에(46) 씨는 ‘일본인으로서 일본 정부를 용서할 수 없다’는 메시지의 피켓을 들고 소녀상 곁에 섰다.

▲ 키무라 리에 씨가 지나가던 일본인 관광객과 대화를 나누고 있다. Ⓒ 민수아

리에 씨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때 센다이에 거주하다가 인도네시아 발리로 가 산다. 그녀는 발리에서 축제 때 일본의 만행을 사과하는 내용의 피켓을 한국어나 영어로 만들어 1인 시위를 벌인다. 부산을 방문할 기회가 생긴 리에 씨가 소녀상을 빼놓고 갈수는 없는 일. 마침 일본인 관광객들이 소녀상을 지나가자 리에 씨는 그들과 대화를 나누며 역사의식을 가다듬는다.

▲ 리에 씨의 피켓에는 ‘일본인으로서 일본 정부를 용서할 수 없습니다’라고 쓰여 있다. Ⓒ 민수아

고등학생 대학생들의 자발적인 지킴이 활동

올해 졸업을 앞둔 대학생 임정균(30) 씨 (30). ‘겨레하나’에 가입해 활동을 시작한 지 한 달 남짓 됐다. 어린아이부터 어르신에게까지 소녀상의 의미를 전하는 임씨는 “소녀상은 한일문제를 넘어서 민족의 문제”라며 “잔인한 역사의 한 장면을 널리 알리는 일에 자부심을 느낀다”고 털어 놓는다.

▲ 임정균 씨가 소녀상을 방문한 시민들에게 소녀상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 민수아

전지환(19) 군은 동구청으로부터 소녀상을 빼앗겼을 때와 되찾았을 때를 모두 경험한 만덕 고등학교 학생이다. “비록 청소년이지만 스스로 할 수 있는 활동을 하나하나 해나가다 보면 위안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며 지킴이 활동이 내적 성장을 이루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성숙한 모습을 보여준다. 

▲ 전지환 군이 소녀상을 방문한 시민의 기념사진을 찍어주고 있다. Ⓒ 민수아

한편 지난 1일에 이어 소녀상을 반대하는 남성이 또다시 찾아와 새로운 게시물을 붙였다. 이 남성의 부착물에는 ‘불법 설치물 동구청은 철거하라’, ‘동구경찰서는 공평 수사하라’는 내용이 적혀 있었다. 취재를 나온 방송사에서 이 모습을 카메라로 찍기도 했다. 이 남성은 소녀상 지킴이 활동가가 자신의 정체를 묻자 타고 온 자전거를 다급하게 몰며 자리를 떠났다.

▲ 지난 1일 소녀상을 반대하는 내용의 게시물을 붙인 남성이 3일 다시 찾아와 새로운 게시물을 승강기 벽면에 붙이고 있다. Ⓒ 민수아

지킴이가 바라보는 정치인의 소녀상 방문

정치인도 빠지지 않는다. 1일 문재인 더불어 민주당 전 대표에 이어 3일 오후 같은 당 대선 예비후보로 등록한 이재명 성남 시장이 소녀상을 찾았다. 이 시장은 “소녀상 철거 요구는 명백한 일본의 내정간섭”이라며 “지금처럼 끌려 다니는 굴욕적 외교를 해서는 안 된다”며 날을 세웠다.

▲ 이재명 성남 시장이 소녀상 설명을 듣고 있다. Ⓒ 민수아

‘겨레하나’의 김성갑 씨는 “소녀상이 모든 대선 후보들이 한번 들려야 하는 곳으로 인식되기보다는 그들의 입장이 정확하게 드러났으면 좋겠다”며 “정치인들이 위안부 문제 해결 의지를 적극적으로 보여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인다.

소녀상의 안식처는 시민이 선택한 장소

소녀상 지킴이들의 하루 활동은 시민들이 소녀상에 두고 간 물건을 정리하는 것으로 갈무리 된다. 영사관 근처에 빈 사무실을 빌려준 시민 덕분에 지킴이들은 물건 정리에 큰 도움을 얻는다. 지킴이 단체들은 매월 1회 수요 집회를 여는 데도 힘을 모을 에정이다.

▲ ‘겨레하나’ 소녀상 지킴이들이 소녀상 주변을 정리하며 활동을 마무리하고 있다. Ⓒ 민수아

소녀상의 눈앞에는 영사관의 일장기가 펄럭인다. 시민이 세우고 시민이 지키는 소녀상의 안식처는 어디일까? 시민이 주인인 민주국가에서 당연히 시민이 선택한 장소다. 1.7톤 소녀상의 무게를 넘는 평화와 인권, 민족혼(魂)의 지킴이는 진실과 정의에 눈감는 한줌의 권력이 아니라 시민이기 때문이다.

▲ 소녀상의 시선에서 보이는 영사관의 일장기. Ⓒ 민수아

편집 : 곽호룡 기자

저작권자 © 단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